날고 있는 비행기 문이 왜 열렸을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효씨 댓글 0건 조회 3,249회 작성일 24-05-11 13:35본문
2023년 5월 26일 제주에서 대구로 향하던 아시아나 8124편의 비상문이 착륙 직전에 열리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아시아나와 경찰 등의 발표를 종합하면 비상문은 30대 남성 승객이 (이유가 무엇이든) 고의로 열었고 이 과정에서 내부로 강한 바람이 유입되어 승객 여러 명이 큰 충격을 받아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승객이 착륙 도중 문을 여는 사고가 발생한 아시아나 A321 항공기. 문 아래쪽에 비상시 펼쳐지는 탈출 슬라이드가 뜯겨나간 모습이 보입니다. 뉴스1
사고 기종은 에어버스에서 만든 A321 기종이고 열린 문은 맨 앞에서부터 3번째 왼쪽 문입니다.
좀 더 짧은 A320 기종과 달리 이 기종은 비상문이 승객이 타고내리는 출입문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돼 있습니다.
출입문을 열려면 커버를 젖히고 레버를 위로 들어올려야 합니다.
문을 열 마음을 먹었다면 쉽게 열 수 있지만, 실수로 문을 열기는 어려운 구조로 돼 있습니다.
사고기 동일 기종인 A321 의 비상문 내부 모습. 에어버스
이번 사고 소식을 접한 분 중에는 승객이 그렇게 문을 쉽게 열 수 있냐. 비행 중에 문이 열리는 게 가능하냐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 ‘날飛’에서는 이런 상황이 왜 가능한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문이 열린 채 착륙한 아시아나 사고기. 아래 뜯겨나간 부분은 비상탈출 슬라이드(미끄럼틀)입니다. 독자 제공
먼저 승객이 그렇게 문을 쉽게 열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해당 승객이 열어젖힌 문은 출입문이 아닌 ‘비상문’입니다.
그리고 비행기 비상문에는 사고가 났을 때 승객들이 빠르게 문을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문 여는 법까지 빨갛고 큰 글자로 붙어있습니다.
비상구에는 사진처럼 빨간 글자로 커다랗게 문 여는 법이 표시돼 있습니다. 에어버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비행기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승객 전원이 90초 이내에 탈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규정 때문입니다.
만약 승무원이 비상문을 승객이 모르는 방식으로 잠글 수 있다면 사고로 모든 승무원이 유고(有故)인 상황일 경우 꼼짝 못 하고 갇힐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최악의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비행기 비상구는 승객이 직접 열 수 있게 돼 있습니다.
에어버스 항공기에서 비상시 승객 탈출 시험을 하고 있는 장면. 만약 90초 안에 모든 승객이 탈출하지 못 하면 그 비행기 기종은 운항할 수 없습니다. 에어버스
그럼 이렇게 문이 쉽게 열리면 나쁜 마음을 먹은 사람들이 높은 고도에서도 쉽게 문을 열 수 있지 않을까.
그건 어렵습니다.
비행기 안과 밖의 기압차 때문에 문이 열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모든 문은 기압차를 안전장치로 활용하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이번에 사고가 난 A321 비상문의 경우 높은 하늘에서는 기압차 때문에 레버 자체를 위로 들어 올리는 게 불가능합니다.
A321 의 문은 대략 가로 1m, 세로 1.8m 크기입니다.
비행기의 객실 기압(약 800hpa)과 외부 기압(약 400hpa, 국내선 통상 고도인 7000m 기준) 차이를 고려했을 때 이 정도 기압차 환경에서 이 크기의 문을 강제로 열려면 7t이 넘는 힘으로 레버를 잡아당겨야 한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비행기가 운항할 때 기내와 외부의 기압차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 순항 중에 기압차가 가장 큽니다. 에어버스
그런데 이번 사고에서는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비행기가 거의 착륙 직전이어서 고도가 매우 낮았기 때문입니다.
아시아나 발표 내용을 보면 문이 열린 시점에서 비행기 고도는 약 200m(800피트)였습니다.
비행기 안팎의 기압차가 거의 없는 높이입니다.
우리가 200m 높이의 산에 올랐다고 해서 공기가 희박하다고 느끼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그 리고 당연히 기압차를 안전장치로 하는 비상구도 구조상 열릴 수 있습니다.
객실승무원 교육을 위해 에어버스 항공기의 문을 여는 방법을 설명하는 장면. 높은 고도에서 기압차가 커지면 사진 속 교관이 잡은 레버를 위로 들어올리는 행동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에어버스 홈페이지 캡처
이번 사고의 경우 비행기 안팎의 기압차가 없었기 때문에 문이 열렸다고 사람이 빨려 나가는 상황까지는 생기지 않습니다.
문제는 속도입니다.
우리가 타는 민항 여객기는 하늘을 날 때 아무리 느려도 시속 250km는 가뿐히 넘어갑니다.
고속으로 달리는 KTX 유리창이 뜯겨나간 상황과 비슷한 겁니다.
착륙하는 아시아나 A320 항공기. 비행기가 가장 느린 시점인 터치다운(바퀴가 땅에 닿는 순간) 때도 속도는 시속 250~300km 정도입니다. 동아일보 DB
비행기를 안전하게 이용하려면, 비행기 사고가 나지 않은 이상 일반 승객이 출입문을 만지면 절대로 안 됩니다.
비행 중이 아니라 비행기가 땅에 정지해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위에서 계속 말씀드린 대로 비행기에는 기내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이 있고, 이 장치들이 어떤 이유로 비행기가 땅에 정지해있을 때도 작동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문을 강제로 열 경우 문이 바깥으로 펑 하고 튀어 나가듯 열려서 비행기 안팎에 있는 사람이 다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객실승무원들도 출입문을 열 때는 기압에 이상이 없다는 조종사의 확인을 받은 후 비행기 바깥의 지상조업자와 문에 있는 창문으로 수신호를 주고받은 뒤에야 문을 여는 절차를 지키고 있습니다.
에어버스 항공기 문에 있는 작은 창문과 ‘기내압력’ 경고등. 경고등에 빨갛게 불이 켜지면 문을 열어서는 안 됩니다. 에어버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00086?sid=1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